카테고리 없음

2교대 근무 시 월급 계산법, 시급 기준

30대아빠 2025. 4. 18. 03:51
반응형

안녕하세요! 오늘은 2교대 근무를 하시는 분들을 위해 월급 계산법을 자세히 정리해보려 해요.
시급으로 일하시더라도 어떤 수당들이 포함되는지,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계셔야 실제 받는 월급을 예측할 수 있고, 혹시라도 누락된 부분이 있다면 바로잡을 수 있거든요.

 

연차 기준: 입사일 기준 vs 회계 연도

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‘연차’에 대해 궁금해지는 순간이 참 많습니다. 특히 입사일과 연차 발생일 사이에 갭이 있거나, 회사에서 회계연도 기준으로 연차를 부여한다고 하면, 내가 손해 보는

daddy-sympathy.tistory.com

 

 

퇴직금 계산시 꼭 알아야할 것들!

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퇴직을 고민하게 되는 순간이 찾아옵니다. 퇴사를 앞두고 꼭 챙겨야 할 것 중 하나가 바로 ‘퇴직금’이죠. 하지만 퇴직금 계산은 생각보다 복잡하고, 특히 연차 사용 내

daddy-sympathy.tistory.com

 

 

부당한 지시, 무시, 따돌림… 법원은 이렇게 판단했다(실제 판례 포함)

직장 내 괴롭힘은 단순한 갈등을 넘어, 근로자의 정신적·신체적 건강을 해치고 조직 전체의 생산성과 사기를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입니다. 2019년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직장 내 괴롭힘 금지

daddy-sympathy.tistory.com

 


2교대 근무 형태란?

반응형

2교대는 보통 ‘주간조’와 ‘야간조’를 번갈아 가며 근무하는 방식입니다.
예를 들어,

  • 주간 근무: 09:00 ~ 18:00 (기본 8시간 근무 + 잔업 18:30 ~ 21:00)
  • 야간 근무: 21:00 ~ 06:00 (기본 8시간 근무 + 잔업 06:30 ~ 09:00)

이렇게 주간과 야간을 돌아가며 근무하게 되고, 주 5일 근무 체계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1. 기본급 계산 방법

기본급은 주간 + 야간 근무의 정규 시간만 계산해서 구합니다.
주간 8시간, 야간 8시간씩 주 5일 기준이므로 총 주 40시간.
이를 월 기준으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은 공식이 됩니다.

기본급 = 시급 × 근무시간 × 주당 근무일수 × 평균 4.345주


2. 잔업수당 계산법

잔업은 일반적으로 시급의 1.5배로 계산합니다.
예) 시급 10,200원 × 1.5 = 15,300원

잔업 시간이 하루 2.5시간(주간), 야간도 동일하다면 총 잔업시간을 월 기준으로 환산하여 계산합니다.


3. 야간수당 계산법

야간수당은 밤 10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에 해당하는 시간에 대해 시급의 50%를 추가로 지급하는 수당이에요.
예를 들어 야간 근무가 21:00~06:00이라면, 그 중 22:00~06:00에 해당하는 7시간이 야간수당 가산 대상이 됩니다.

야간수당(가산분) = 시급 × 0.5 × 야간 가산 시간 × 근무일 × 4.345주


4. 주휴수당

주휴수당은 한 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, 유급 휴일 하루치 시급이 추가로 지급됩니다.
주 5일 근무면 당연히 포함돼요.

주휴수당 = 시급 × 1일 근무시간 × 주당 1일 × 4.345주


계산 예시 요약 (시급 10,200원 기준)

구분계산법 요약금액(원)

 

기본급 10,200 × 16시간 × 5일 ÷ 2 × 4.345주 약 1,772,760
잔업수당 10,200 × 1.5 × 5시간 × 5일 ÷ 2 × 4.345주 약 830,981
야간가산수당 10,200 × 0.5 × 7시간 × 2.5일 × 4.345주 약 387,791
주휴수당 10,200 × 8시간 × 2.5일 × 4.345주 ÷ 5일 약 110,798
총합계 합산 3,102,330원

 

반응형